top of page
자산 31.png

서경대학교산학협력단의 SEIC사업단이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찾아가는 학교 컨설팅’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었습니다. SCORE UP 2.0은 SEIC의 인적, 지적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교육 현장에서 꼭 필요한 프로그램 개발과 컨설팅으로 모든 교육 주체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해나갈 것입니다.

Meet The 2.0

자산 1.png
  • 학교 수업과 교육과정 속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현장 밀착형 연수 콘텐츠를 설계·운영

  • 단순한 이론 강의나 일회성 연수에서 벗어나, 교사의 수업 실천력 향상을 최우선 가치로 설정

  • 각 연수 과정은 교실 수업 적용 사례 공유, 디지털 도구 실습, 수업 시연 및 피드백 활동 등을 포함하여 실제 교사의 수업 개선으로 연결되는 연수 모델을 구현

자산 2.png
  • 교사, 학생, 학부모 등 교육공동체 구성원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다층적 연수 콘텐츠를 개발

  • 자기주도적 배움과 상호작용 중심의 학습 환경을 조성

  • ·문제해결 중심 연수, 학생 주도 디지털 프로젝트, 학부모와 함께하는 공감 연수 등을 통해 참여자들이 즐겁게 몰입하며 성장하는 학습경험을 제공

자산 3.png
  • 학교 구성원이 진단한 실제 문제를 출발점으로 하여, 정확한 수요 분석 기반의 맞춤형 솔루션을 설계

  • (Needs Survey) → 심층면담(Needs Interview) → 컨설팅(Design & Planning) → 연수 실행(Training) → 환류(Feedback)의 5단계 연계 운영 프로세스를 통해, 학교에 꼭 필요한 내용만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낭비 없는 연수 운영을 실현

자산 4.png
  • 연수의 결과가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도록, 학교 전체가 함께 성장하고 변화하는 흐름을 설계

  • 학교 문화, 지역 여건, 교직원 구성, 학생 특성 등 학교 맥락에 맞는 연수 설계 원칙을 적용

  • 코디네이터와의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교 자체의 성찰-재설계-실행-확산 환류 체계 운영

Promotion Strategy

자산 1.png

2.0 Consulting Process

0

우리 학교 알아보기

  • 퀴즈, 워드클라우드, SWOT 분석 등 참여형·소통 중심 활동으로 ‘우리 학교’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유도할 수 있게 구성

  • 가볍지만 의미 있는 참여활동을 통해, 구성원들이 학교 현황과 특성을 스스로 진단하고 변화 방향을 함께 고민하도록 함

  • 보편적 이론의 전달보다는 ‘우리 학교’를 구체적으로 분석·진단하는 데 집중하여 실제 몰입도를 높임

1

학교의 지속 가능 리더십함양 

  • 미래 교육 환경 변화, 디지털 전환 트렌드를 중심으로 학교 리더가 가져야 할 리더십 역량을 체계적으로 다룸

  • 해외 사례, 국내 우수 운영 사례 등을 바탕으로 학교 경영과 디지털 혁신 접목 방안을 구체적으로 설계해 보는 실습 과정을 포함

  • 에듀플러스위크 박람회와 연계하여 교원연수회, 교육단체, 에듀테크 기업의 우수 사례를 기반으로 학교 현장에 보급 가능한 것을 탐색할 수 있도록 구성

2

교실혁명을
위한 학부모의 이해

  • 급변하는 디지털 학습환경 속에서 학부모가 느끼는 혼란이나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실제 AI디지털교과서·AI교육서비스를 체험하고 가정 연계 방안을 모색

  • 설명 위주의 ‘일방적 강의’가 아닌 실제 체험(디지털교과서, AI툴 활용)과 토의를 결합하여, 학부모들이 학생처럼 ‘직접 써 보는 경험’을 중시

  • 디지털 기술 안내 외에도 학부모가 자녀에게 필요한 디지털 윤리, 학습 지원 노하우를 공유하고, 가정-학교 간 협력 생태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

3

학생 대상 디지털 문해 교육

  • 초·중·고 학년별 수준과 관심사에 맞춰 ‘디지털 발자국’, ‘AI 코스웨어’, ‘카드게임 활용 시간 관리’, ‘생성형 AI를 통한 창의 프로젝트’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

  • 디지털 기기 사용법부터 윤리·예절, 정보검색, AI 프로그래밍까지 폭넓게 다루어 디지털 문해 능력을 균형 있게 함양

  • 학교의 니즈를 반영해 11가지의 다양한 주제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

4

디지털교육 도구 활용 및 애로사항 해소

  • 학교 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스마트 기기(태블릿, 노트북 등), 기자재·시설관리, 인프라 구축 노하우까지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

  • 각종 디지털 자료·기기 관리의 실제 사례(학교 서버, 온라인 자료실 구성 등)를 구체적으로 다루어, 운영 노하우를 실질적으로 전수

  • 수업 자료 디자인(캔바)·디지털 북 제작(북크리에이터) 등 교육 현장에서 곧바로 적용할 콘텐츠 제작 역량을 함께 강화

5

데이터 기반 현장 연구 지원

  • 학생 학습·생활·평가 데이터 등을 수집·분석하여 수업 개선 및 맞춤형 피드백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실제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

  • AI 기반 데이터 분석 도구(AI DATA 킷 등)를 활용하여 ‘근거 기반 수업 설계’를 시도할 수 있도록 지원

  • 기존의 정성적·주관적 관찰 위주 접근을 넘어, ‘정량 + 정성’ 데이터를 통합 활용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안내

6

교과별 전문과정

  • 체험·창작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이 흥미를 느낄 만한 프로젝트(스토리 만들기, AI 코딩, 메이커 활동 등) 기획

  • 교과 지식을 생활 속 문제 해결이나 창의적 결과물(디지털 동화책, 피지컬 컴퓨팅 작품등)로 확장

  • 수학, 국어, 영어, 실과 등 초등학교의 다양한 교과에서 희망하는 과정을 학교의 니즈에 따라 선택하거나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

  • 다양한 에듀테크를 종합적으로 다뤄 교사가 자신의 수업 목적에 맞게 도구를 선택·활용할 수 있게 함

  • 수학, 국어, 영어, 정보, 사회, 윤리, 음악, 미술, 체육 등 중등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교과별 전문과정을 모듈 형식으로 구성하여 학교의 다양한 요구에 맞춤형으로 적용

  • 기존의 연수와 달리 교과 내용 자체(중등 학습목표·성취기준)와 디지털 도구가 어떻게 결합되는지 살펴보고 설계하는 과정 중심으로 구성

7

주제별 심화 과정

  • 다양한 난이도별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학교와 학생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

  • 다양한 에듀테크 도구, AI코스웨어를 지원할 수 있게 구성하여 학교의 예산 부담을 완화하고 실습 위주의 내용으로 구성

  • 문제해결력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여 기존 교실 수업이나 외부강사의 수업과는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

  • 단순하게 디지털을 활용하는 것에서 벗어나 생성형 AI·프로그래밍까지 체계적으로 다루어 심층적 역량을 강화

  • 다양한 에듀테크 도구, AI코스웨어를 지원할 수 있게 구성하여 학교의 예산 부담을 완화하고 실습 위주의 내용으로 구성

  • 실제 현장의 사례(교과·학년별)를 중심으로 실습을 진행함으로써, 교사들이 즉시 적용 가능한 노하우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

8

학교 교육과정 평가-환류

  • 각 학교에서 시행한 디지털 기반 교육활동의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해, 교육과정에 재반영할 수 있는 환류 체계를 구축

  • 교사·학생·학부모의 만족도 조사, 디지털 수업 결과물 피드백 등 다면 평가 방식을 제시

  • 단순 만족도 조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자료를 다음 연도 교육과정 개선 및 보완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까지 제시

9

운영기관 특화 과정

  • 이미지·음악·텍스트 등 다양한 창작물을 생성하는 AI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고, 실제 교육현장·업무에 적용하는 방법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

  • 최근 교육 현장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디지털 시민성의 개념과 필요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사이버 폭력·개인정보 보호·가짜뉴스 등 핵심 이슈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을 설계

  • 학교에서 요구하는 내용으로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하였으며, 최근 사회 변화 과정에서 교육분야에서 두드러지게 이슈가 되고 있는 내용 위주로 차별성있게 구성

신청만 하시면, 학교가 겪는 어려움을
SEIC가 지원하러 갑니다.

SEIC 플랫폼

SEIC의 경험많은 코디네이터가 학교로 방문하여 컨설팅
과정에 대한 상세한 안내를 도와드립니다

SEIC 플랫폼
SEIC 플랫폼

Organization and Role

자산 3.png
seic로고.png 서경대산학협력단 찾아가는 학교 컨설팅컨소시엄

서울 성북구 서경로124 (서경대학교 유담관 1610호)   02_940_7929 (서경대학교 SEIC사업단) seic1@skuniv.ac.kr /

02_940_7928(사업단장실) smkang@skuniv.ac.kr /

자산 4.png
bottom of page